피측정모터에 부착한 풀리에 제동실을 감아, 그 제동실의 장력을 제어함과 동시에 힘을 검출 합니다. 부하토크는 검출한 장력으로 부터 아래와 같이 계산합니다.
고정센서(좌측)의 장력검출값 : F1 [N]
이동센서(우측)의 장력검출값 : F2 [N]
풀리의 직경 : D1 [mm]
제동실의 직경 : D2 [mm]
따라서, 부하토크 T [mN·m] 는 아래와 같이 구할 수 있습니다.
T = |F1 - F2| · (D1 + D2)/2 [mN·m]
스테핑모터는 AC/DC모터와 같이 연속으로 회전하는것이 아닌, 구동 펄스에 따라 스텝상태로 계속적으로 회전합니다. 이와같이 스텝마다 기동.정지를 반복하기 때문에, 관성 모멘트의 영향에 매우 취약한 모터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그 측정에 있어, 모터에 가해지는 부하의 관성을 최대한 작게 만들어야 합니다. 관성이 크면 큰 측정 오차가 발생하고, 특히 미소 토크 모터에서는 그 오차가 가히 치명적 입니다. 당사의 스테핑모터 측정 장치의 실로 거는 브레이크방식은 모터 축에 가해지는 관성이 아주 작아지도록 가공한 알루미늄 풀리를 사용하기 때문에 최대토크가 0.1 mN·m이하의 미소 스테핑모터까지 정확하게 풀인.풀아웃 토크를 측정 할 수 있습니다.
회전중인 모터에 부하를 주면 동기 회전중 검출토크는 리플을 포함한 파형이 되고 탈조하면 검출 토크는 크게 진동합니다. 이 검출 토크 파형이 크게 진동 했을 때를 탈조라고 판단합니다.
구동방식이 다른 모터(2상 여자, 1-2상여자등) 측정에 대해서는, 각종 드라이버가 필요합니다.